이열치열 뜨거움은 뜨거움으로 해결한다!!!!!

장마로  인해  토요일도 그냥저냥 운동할 만 했는데....

하늘이 늘  흐려 있어 여름 같지 않게 구름 그림자가 있어 뛰어다니기엔 좋았었는데....

오늘은 오랜 만에 해가 하늘에 둥그렇게 떠 있다.  떠 있는 해에서 내뿜는 열기가 장난 아니다.


인조구장 온도가 40도는 되는거  같다.

연세드신 분들이 함께 운동하는데 조심해야 할 것 같다.

마침 인천연예인팀 단장님이 해오신 수박화채가 있어 더위와 열기를 식힐 수 있어서 참 좋다.

 
인천에서  늘 함께  운동하던 두팀이  오래동안 함께  운동해서  이제는 스타일을 다 알고 운동을 하기에

흔히들 생각하는 거 처럼 과격하게 볼을 차지는 않는다.


인천서구 전용경기장이  만든지  얼마되지  않아 잔디상태도  아주 양호하다.

이제  나이들이  들어서  무리하게 운동하지  않고  즐겁게  운동할수 있어  참 좋다

운동하시는 어르신들 건강하게 여름 더위  잘 이겨나가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무더운 여름을 이기기 위한 탁월한 선택은???? 

 

오ㅡ늘도  무척  뜨거운 날이다.
아침에  쌀을 씻어  5시간 불리고 12시경 물을
빼고 2시에  쌀을 빻아야한다. 곱게 빻아야 떡이 부드럽고 맞있게 쪄진다.


그리고  곧장 서울로  두군데  배송해야 할 케잌이   있다.
10년전, 함께  근무한 직원으로부터  연락이  왔다.
같은지점에 있던 직원이  이번 인사이동 때
다른지점으로 전근가서  축하하려고  케잌을 주문한다는 것이다.
인사이동철이  되면 당연 동양란을 선물하던게  일반적이었는데  요즘 청라디떡이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하여  연락들이  자주온다.


감사한 일이다.
암튼 보내는분도  좋아하고  받으시는분도  깜놀케잌을 받으니  정말 탁월한 선택이라 아니할 수 없다. ㅋㅋㅋ
무더운 여름 눈으로 보면서 놀라고  입에는 달콤하고 부드러운 떡케잌의 소용돌이가 있어  

좋다.    시원하고  즐거운 멋진 팔월이  되길 축복합니다

 

 

 

소셜마케팅이란 무엇인가?

협업이란 어떻게 하는 것이 성공적인 협업인가?

출처소셜마케팅과 협업의 정리by 건강한 협업

소셜마케팅과 협업의 정리
소셜미디어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과 같이 1:다수 관계의 매스미디어와 달리 1:1, 1:다수, 다수:1의 다양한 관계 형성을 가능케 하는 상호간에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이다. 위키피디아(Wikipedia)는 소셜미디어를 사람들의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들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도구나 플랫폼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내에 잘 알려진 대표적인 소셜미디어로는 블로그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플리커, 핀터레스트, 미투데이,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SNS = 소셜미디어로 알고 있다. 마치 매스미디어라는 말을 쓰지않고 광고라 부르는 것과 같다. 사실 SNS는 소셜미디어 중 하나이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는 친구나 지인 등 인간관계를 위한 커뮤니티형 인터넷 사이트를 말한다. 마이크로 블로그라고도 한다. 페이스북, 트위터,미투데이가 대표적인 SNS이며 카카오톡은 SNS가 아니고 IMS(Instant Messaging Service)이. 이에 카카오톡은 카카오스토라는 사진 공유 기반의 SNS를 만들었.
 
사실 이러한 소셜미디어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 세상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여 급변하고 있다. 정의는 계속 바뀌고, 구분이라는 영역의 한계는 쉽게 무너지고 만다. 그리고 대중은 자신이 선호는 소셜미디어 한두개를 사용할 뿐이다. 하지만 기업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별 특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출처: http://insidea.tistory.com/6 [인스 아이디어]

출처: http://insidea.tistory.com/6 [인스 아이디어]

2.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효과
판매 증가 (Improved Sales)
소셜미디어 활용 3년 이상인 경우 효과가 있음 50% 이상 (3~4년 : 57%, 4~5년 : 64%, 5년 이상 : 77%)
매주 5시간 이하 35%, 40시간 이상의 경우는 74%가 효과 있다고 함
노출 효과 (Increased Exposure)
소셜미디어 활용 1년 이상의 경우 효과가 있음 93%이상, 1년 미만은 83%
매주 6시간 이상 투자한 경우 : 효과가 있음 95% 이상 (5시간 이하인 경우는 87%)


3. 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1. 블로그는 1인 기업들이 많이 사용하고(62%), 큰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합니다(50%)
2. 소셜미디어 경험 3년 미만인 경우 구글+와 블로그를 많이 사용하지만, 3년 이상인 경우 유투브를 많이 사용합니다. 콘텐츠 생성에 관심이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매주 40시간 이상 투자하는 경우에는 인스타그램(46%이상), 구글+(41%이상), 유튜브(38%이상), 핀터레스트(37%이상), 블로그(26%이상)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투자합니다. (매주 6시간 미만 투자하는 계층 대비)
4. B2C는 페이스북, 유튜브, 핀터레스트와 인스타그램에, B2B는 링크드인과 구글+, 블로그에 집중합니다.

지금까지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관하여 살펴 보았다면 협업의 관하여 살펴보자.

4. 협업이란?
협업은 가상의공간과 물리적 공간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기술을 사용하여 기술혁신, 고객관계 및 효율을 개선, 가치를 창조하려는 목적으로 기업내에서 함께 일하는 고도로 다양화된 팀웍 - 칼로스 도밍게즈(Carlos Dominguez's Articles)시스코 부사장

5. 협업을 위해서는 다음의 네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공동의 목적과 목표 인식이 필요하다. 기업에서 공동의 목적과 목표가 없는 소통과 협업은 성공하지 못한다. 공동의 목적과 목표가 있을 때 소통과 협업은 의미가 있다. 그래서 전사적인 소통과 협업은 기업 가치관인 미션(목적), 비전(목표), 핵심가치(우선순위)가 정립되고 내재화가 필수 요소가 된다.

둘째, 수평적으로 평등한 관계의 형성이 필요하다. 불평등하고 위계적 환경에서는 자발적 소통과 협업을 끌어내기 어렵다. 수평적으로 평등한 관계여야 소통과 협업은 효과가 있다. 경영진이나 리더가 직원들을 아래로 내려다 보면서 소통과 협업을 외치는 것은 겉으로만 하는 시늉만 이끌어 낼 뿐이다.

셋째, 집단적 협력이 필요하다. 소통과 협업은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공동체 활동에 맞게 팀, 부서, 부문, 전사 차원의 집단적 협력이 되어야 한다. 개인적 협력은 ‘단순접촉효과’와 ‘터틀링’ 수준에 머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의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서로 활발하게 소통하고 협력하라.
원문 : 정진호가치관경영연구소
출처 : http://ppss.kr/archives/59165

 

그렇다면 일인 미디어포럼에서 요구하는 소셜마케팅 협업이란 무엇인가?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셜마케팅은 시대의 변화이고 트렌드의 변화임을 살펴보았듯이 또한 협업은 함께 할 때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일인 미디어포럼에서는 이 두 가지의 전혀 다른 분야를 하나의 분야로 재 창출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렇기에 첫째로 소셜미디어 교육을 통하여 활용능력을 끌어올리고, 두 번째로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협업을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볼 수 없었던 뉴 마케팅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지난 2월 방배동 빛 교회에서 1기로 시작하여 현재 구로에서 10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시대가 변화여 가고 트렌드가 변해가는 것에 대응하고자 하는 적극적 참여인 것이다.
 

현재 소셜마케팅 협업 아카데미를 수료하고 일인 미디어 포럼에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숫자가 60명을 넘어섰다 그렇다면 앞으로 최소 3년 이상 지속된다면 새로운 뉴 파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미래사회의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정리하여 본다.

얼마의 자본으로, 무엇을 창업해야 할 지

고민되십니까?????


 

 

국민학교 4학년 중퇴가 최종 학력인 주식회사 바로텍 대표 김영미 사장은 조금 특별한 사람이다 아무도 걷지 않는 길을 자청하고 나섰다. 밥상혁명 구테타를 일으키고자 20년 이상을 혼자서 고군분투 하고 있다 밥상 혁명이라고 함은 우리가 현재 오래된 백미 쌀로 먹고 있는 밥은 독이라는 것이다


쌀은 도정후 7시간이 지나면 산화하기 시작한다. 15일 이후 부터는 부패 속도가 빨라지고 6개월이상 지난 쌀은 먹기가 곤란하다. 쌀 도정후의 날짜를 보고 밥을 지어 먹는 사람은 거의 없는것 같다. 김영미 사장은 여기에 착안해서 갓 도정해서 바로 밥을 지어 먹을 수 있는 1분도 현미 쌀 공급과 도정기 비지니스를 생각하게 되면서 22년 걸려서 도정기를 완성한다

 


일반 도정기의 단점을 완전히 극복한 국내 최초 세계 최초로 나락을 손톱으로 까듯이 한알 한알을 까내는 스큐류 방식의 도정기를 개발 완성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지금 전국 약 만대 이상의 보급이 됐다. 그런데 각 가정마다 165만원 하는 즉석 가정용 도정기를 보급한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많은 마케팅 비용이 들어간다.


전국민이 안심 먹거리로 즐겁게 먹을 수 있는 그날을 기대 하면서 착안한 것이 현미 누룽지 이다 현미 누룽지는 한봉지 천원이다. 누구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것을 빌미로 누룽지 기계를 만들었다. 국내 최초로 신기술을 이용해서 3~4분만에 누룽지가 한번 작동시 15~20개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했다.


갓 도정한 쌀로 밥을 지어 즉석에서 누룽지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밥상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현미 누룽지로 전국민의 마음을 흔들어 놓기로 작전을 바꾸었다. 현미 누룽지는 먹어본 사람들은 안다. 한번 먹어본 사람은 다시 찾는다 중독성이 강한 구수한 옛 향기를 느낀다.

 


누룽지 기계를 만들었지만 정작 누룽지 기계가 비싸서 누룽지 비지니스가 힘든 사람들에게 아주 단비와 같은 희소식이 생겼다. 한봉지 천원 밖에 안하는 누룽지로 무일푼 창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누룽지기계를 만들어 내는 생산 공장과 함께 식품가공 공장도 같이 만든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누구나 쉽게 소량의 누룽지를 본사로 부터 받아서 자신의 영업 역량 만큼만 판매를 매일 매일 하게 되면 몇 달 후에는 누룽지 기계 (제조기)를 살 수 있는 돈을 마련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창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돈 천원짜리 누룽지로 누룽지 기계를 사서 당당하게 창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현미 누룽지를 추적해서 올라가면 도정기가 나오고 도정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나락(벼)이 필요한데 무농약 친환경 벼를 공급 받아서 도정기로 도정한 쌀로 밥을 지어 즉석에서 바로 현미 누룽지를 만들어 내는 재미 있는 비지니스 각본이 보인다.


누룽지 한봉지로 시작한 성공의 끝은 무궁 무진하게 열려 있다는 것이다. 한봉지의 누룽지 비지니스로 뿌린 씨앗이 누룽지 기계를 마련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으며, 그 기계와 함께 도정기와 무공해 나락으로 안심 먹거리를 책임지는 전도사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자긍심을 가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누룽지와 관련된 연관 비지니스는 널려 있다. 누룽지 계란탕, 아침 출근길 바쁜 직장인들을 위한 뜨거운 물만 부으면 영양 누룽밥이 되며, 각종 누룽지탕으로 영양식을 즐길 수 있고, 누룽지 샐러드와 각종 누룽지 요리들이 연관 비지니스로 기다리고 있다.


김영미 사장의 비지니스 철학은 분명했다. 안심 먹거리를 제공하는 떳떳한 창업 비지니스를 할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사업에 임하라는 것이다. 현미 누룽지 한봉지로 시작하는 무자본 창업 신화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자료출처: (주)바로텍의 김영미대표의 추천하는 글에서 가져 옴

 

 

현미와 잡곡이 함께 어울어진 쌀로 지은 밥이

유산균이 된단다?????

 

 

 

밥을 한 뒤에도 유산균이 살아 있다는 거짓말 같은 사실이 있다. 쉽게 시험해보면 되지!

압력밥솥으로 밥을 하고 그 밥을 우유에 넣어 봐. 밥에 유산균이 살아 있다면 그 우유는 요구르트가 될 것이고,

아니면 둘 다 상한다. 그런데 이 멍청한 시험을 실제로 해본 사람이 있다.

우리 발효기술로 만들어 300도 고온에도 “유산균이 살아있는 밥”이라면서. 

 

 

요구르트 발효기에다 우유와 유산균 쌀로 한 밥을 넣고 발효 온도를 맞춘 후, 다음날 아침 열어 보았다.

이런 일이 있나? 진짜 요구르트가 되었다.

 

 

 

 

너무 놀랍고 신기해서 웃음이 계속 나오는데,

 

 

 

기쁘고 감사하고

신감이 생겨 기분을 주체할 수 없었다.

이럴 수가? 얼른 맛을 봤다. 별로였다. 딸기와 꿀을 넣고 믹서로 갈았다. 딸기 향에 꿀맛까지 기가 막힌다. 

 

 

 

 

 

 


예쁜 유리잔에 담고 위에 딸기를 잘라 멋을 내어 애들에게 주었더니, 엄마 최고란다!

그런데 더 중요한 건 유산균 곡식으로 지은 밥이 들어있는 이 요구르트 한 잔이 든든한 아침식사로도

좋지만, 장에도 효과 만점이라니, 할 말이 없었다.

이제 어쩔 거야? 골목에서 소릴 냅다 지르며 미친 듯 춤을 출거야?

조용히 머릴 숙여 감사하고는 엄마에게 전활 걸었다. 그리곤 흐느꼈다.

그간 쌓였던 응어리가 그냥 치밀어 오르는 격정을 억제할 수가 없었다. “엄마, 이제 찾았어, 길이 보여!”

010 5482 1323 박현순님께 물어봐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