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3 조선일보 기사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

이스라엘 창의·영재교육의 대가인 헤츠키 아리엘리(Arieli) 글로벌엑설런스(GE) 회장은, 지난 20년 동안 수많은 한국 교사, 교수, 공무원을 만났는데 모두 우리 교육을 바꿔야 한다는 말만 외칠 뿐, 변한 게 하나도 없다고 했다. 이제 학교에서부터 실질적인 변화가 시작돼야 한다. "한국 교육이 아이들 창의성을 키워주려면 정책가들이 진짜 실용적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했다. 지금처럼 밤늦게까지 주입식 공부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행복하지 않고, 행복하지 않은 학생은 호기심이 사라져 결코 창의적이 될 수 없다. "9시까지 학교에서 공부해선 창의성을 키울 수 없다"면서 "차라리 오후 4시 이후엔 학교를 닫는 게 낫다"고 했다. 아리엘리 회장은 이스라엘 영재교육 기관 ICEE와 이스라엘예술과학아카데미(IASA)를 설립한 영재교육 전문가다.창

아리엘리 회장은 한국 학생들이 학력은 높은 반면 창의성이 부족한 이유에 대해 "학교 교육이 시험에만 맞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 시험은 누구나 돈 주고 사거나 베낄 수 있는 '정보'를 많이 아는지 평가하고 교육도 그에 맞춰 한다"면서 "아이들이 삶에서 성공하려고 공부하는 게 아니라 시험 잘 치려고 공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학생들이 자기만의 지식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요구하는데 "한국은 미래를 준비해야 할 아이들에게 과거 방식으로 교육하고 있다"고도 했다.

한국 학교 교육을 "아이가 수영장 물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는데 교사는 양동이로 계속 물을 퍼붓는 모습"으로 비유했다. 넘치는 정보의 바닷속에서 어찌할 줄 모르는 아이들에게 정보를 분석하고 자기만의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계속 더 많은 정보를 주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 교육을 바꾸려면 무엇보다 수업을 재미있게 바꿔야 한다. 그는 수학의 '거듭제곱' 개념을 게임처럼 가르치는 방식을 보여주며 "수학 공식을 외우는 게 아니라 수학적 사고를 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창의성은 당장 가르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라 환경을 조성하고 아이들에게 자유를 줘야 키울 수 있다"면서 "학교의 모든 커리큘럼을 그렇게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아리엘리 회장은 "한국 교육에 '하브루타'를 적용하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하브루타는 두 명이 짝을 지어 끊임없이 질문하고 토론하는 이스라엘 전통 교육 방식이다. 그는 "이스라엘 부모들은 애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오늘 어땠니?'라고 묻지 않고 '오늘 학교에서 어떤 질문을 했니?'라고 묻는다""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질문을 해도 허용하고, 질문에 결코 답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질문과 토론의 일상화가 이스라엘 교육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실태 조사를 한 결과 SNS 사용자 43%가 SNS 정보 “정보 믿을만”하다고 응답이 나왔다 또 한편 가장 빠르고 최신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믿느냐는 말에 24%가 그렇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기존 미디어와 언론에 심각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시간이 가면 갈 수록 SNS 정보의 파급효과는 그만큼 더 크게 확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67%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층의 20대는 90%이상의 SNS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30대는 71%의 이용률을 보였다고 한다 SNS 이용자들은 서비스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해 약 43% 가 '믿을 만하다'고 답했으며, '믿을 만하지 않다'는 12.1%에 불과했다
 
대한민국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78%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고, 사용자당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2.2시간이다.
4.9%에 불과했던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PC)의 가구보급률이 올해엔 약50 %로 조사돼, 1년새 9배정도로 늘어난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해 소셜네트웍 서비스(SNS) 이용자의 약32 %가 모바일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셜네트웍 서비스 (SNS)이용자중 초등학교 5학년이상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7%는 SNS 서비스를통해
지인들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지고, 모르는 사람들과의 친분도 쌓게 됐다고 답변했다. SNS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를 쉽게 찾을 있어 좋았다는 답변도 48%나 됐고. SNS 서비스 통해 가장 빠르고 정확한 최신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24%나 됐다
 
아주 빠른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전파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모습이 드러났다.만약 이런 속도로
진행이 계속 된다면 기존 미디어와 언론에 대한 신뢰는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쉽게 추정될 뿐만 아니라 기존
미디어의 시청률 하락과 기존 언론을 대변하고 있는 신문 부수는 언젠가는 바닥을 칠것으로 본다
 
공급자 중심시대의 중심에 섰던 웹1.0의 언론과 미디어는 웹2.0 시대를 지나 웹3.0시대를 맞이한 수요자 중심 또는 사용자 중심의 시대에서는 소통,참여,공유,개방의 물결에서 새로운 달바꿈과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 운명에 놓여졌다

SNS [소셜네트웍 서비스 시대]-SNS 정보 정말 믿을만 한가?

기존 미디어와 언론을 정말 대체할 만한 것이 SNS라고 생각하는가?


 


인터넷 실태 조사를 한 결과 SNS(소셜네트웍서비스) 정보 믿을만 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렇지 아니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보는 설문 조사 결과 SNS “정보 믿을만”하다고 응답이 약 43%정도믿을만 하다는 대답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또 한편 가장 빠르고 최신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믿느냐는 말에 24%가 그렇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이런 사실은 기존 미디어와 언론에 심각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앞으로 시간이 가면갈 수록
SNS 정보의 파급효과는 그만큼 더 크게 확산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요즘 신문을 보는 사람들의 숫자가 점점더 줄어 드는 것은 어쩌면  위의 통계수치가 그 사실을 그대로 증명해 준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거의 신문을 보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그게 현실로 다가왔다는 것은 그리 놀라운 것은 아니다
국내 인터넷 사용자의 67%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이용하고 있거나 그 이상이 사용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층의 20대는 90%이상의 SNS(소셜네트웍 서비스)를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30대는 약 71%의 이용률을 보였다고 한다 그 뒤를 따라오는 10대들은 더 높은 수치의 통계가 나올 것이라는 것은 불 보듯이 뻔한 사실이다. SNS 이용자들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해 약 43% 가 '믿을 만하다'고 답했다그에 비해 별로 믿을 만 하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은 12%에 불과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인터넷 사용률은 약 78%로 나타났으며 , 사용자당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2.2시간으로 나타 났으며,  약 5% 정도에 미치지도 못했던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PC)의 가구보급률이 올해엔 약50 %로 조사 되었는데  1년 동안에 9배 이상 늘어난것으로 통계상의 수치가나왔다고 한다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로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받고 있거나 소통하고 있는데 그 통계 수치는 이용자의 약 32%로 나타났다

 

소셜네트웍 서비스 (SNS)이용자중 12살 이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7%는 SNS 서비스를통해 지인들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지거나 가까와 지고 있고 ,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모르는 사람들과의 친분을 SNS를 통해서 쌓게 되고 아는 사람으로 자리매김하는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SNS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답변이 48%나됐고, SNS 서비스 통해 가장 빠르고 정확한 최신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24%나 됐다 아주 빠른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전파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모습이 드러났다.

자료제공: ESM 인증위원회
작성시간: 2011년 12월 4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