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스코어 "인터넷은 포털에서 소셜로"- 인터넷은 계속 진화한다

소셜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시장조사기업 콤스코어가 간밤에 보고서를 냈습니다.
U.S. Digital Future in Focus 2012.
미국의 디지털 미래를 조망한 보고서.
작년(2011년) 기준으로 부문별로 분석했는데
눈에 띄는 몇 가지만 간추리겠습니다.
2011년은 디지털 미디어 산업에서 흥미로운 해였다.
좀더 중요한 변화가 올 것임을 예고하기도 했다.

웹사이트 순방문자와 체류시간:
순방문자 1위는 구글. 1억8700만명. 작년 12월.
체류시간 1위는 페이스북. 14.6% 점유.
체류시간 2위는 구글 사이트. 유튜브 덕분에 10.8%.
야후는 8.6%… 포털에서 소셜로 옮겨가고 있다는 뜻.


 



포털과 이메일의 하락세 지속:
주로 정보 찾는 수단이었던 웹이 서서히 바뀌고 있다.
엔터테인먼트와 레저 콘텐트를 더 많이 찾는 쪽으로.
포털 이용 줄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 늘어난 게 핵심.
야후, MSN, AOL과 같은 전통적인 포털이
페이스북을 비롯한 소셜 네트워크에 밀리고 있다.
12월 현재 온라인 체류시간 점유율이
포털 16.7%, 소셜 네트워크 16.6%...역전 일보직전.
이메일의 점유율은 처음으로 10% 밑으로 떨어졌다.


 




웹 기반 이메일 사용 작년에도 급감:
12~17세에서는 31% 감소,
18~24세에서는 34% 감소.
웹메일 사용 감소가 10대에서 20대로 확산 추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게 주요 원인 중 하나.
모바일 이메일 사용은 두 자릿수 성장률 기록.
18~24세의 모바일 이메일 사용은 32%나 증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성장세 지속:
10명중 9명은 월 1회 이상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방문.
체류시간 점유율은 ⅙ 정도. 페이스북이 압도적.
페이스북 사용자수보다 사용시간이 많이 늘었음.
페이스북 체류시간 32% 증가해 12월엔 1인당 7시간.
페이스북은 체류시간의 15%, 페이지뷰의 16%를 점유.
마이스페이스는 작년 6월 링크드인한테 밀려 이젠 4위.


12월 순방문자 기준으로
2위는 트위터 3750만명, 3위는 링크드인 3350만명.
가장 눈여겨봐야 할 점은 작년 6월 구글플러스 런칭.
반년만에 순방문자 2070만명... 텀블러 제치고 5위.
수개월 이내에 마이스페이스도 제칠 듯.
신생 서비스 핀터레스트는 순방문자 800만명 기염.
핀터레스트는 체류시간에서 페북-텀블러 이어 3위.
(트위터/구플은 모바일/써드파티앱 접속 포함 안됨).

 


여기까지만 간추리겠습니다.
검색 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이 약간 떨어지고
마이크로소프트 빙 점유율이 올랐다는 얘기,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이 늘었다는 얘기,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 1/4을 페북이 먹었다는 얘기,
모바일 플랫폼 시장에서 림(RIM)이 밀려나고
안드로이드와 애플이 점유율 늘렸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보고서는 PDF 37쪽 분량. (링크)
간단한 개인정보 입력하면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오해 소지가 있어 한가지 덧붙입니다.
인터넷 중심이 포털에서 소셜로 옮겨간다고 돼 있지만
그렇다고 포털이 사라진다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백화점식 포털은 그 나름대로 강점이 있습니다.
소셜 트렌드를 반영해 계속 진화할 걸로 봅니다.
소셜 플랫폼의 성장세 추이도 지켜봐야 합니다.
콤스코어 보고서를 유심히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소셜 피로감"이 살짝 내비칩니다. [광파리]

 

 

[구글플러스] 구글플러스 초보자 가이드 - 구글플러스를 잘 하고 싶다면

 

 

구글+ 초보자 가이드

구글+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비슷한 점도 많고 다른 점도 꽤 있어서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이 혼란을 겪으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간략한 내용과 문서들을 모아보려고 합니다. 빠진 내용이나 좋은 글 있으면 댓글로 좀 추천해 주시면 내용을 보강해 나가겠습니다. 그리고 이 글은 웹페이지의 왼쪽 메뉴 제일 아래 부분에 '구글+ 초보자 가이드' 라는 제목으로 링크되 있으니 처음 커뮤니티에 가입해서 이런 내용에 대해 물어보는 분들에게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써클

구글+의 가장 기본적인 관계인 '써클'은 페이스북의 '친구'처럼 요청하고 수락을 받아하는 관계가 아니고, 트위터의 '팔로우'처럼 내가 원하면 내 마음대로 바로 맺을 수 있는 관계입니다. 다만 팔로우 하면서 동시에 트위터의 리스트와 비슷하게 내가 만든 여러 개의 써클들에 그 사람을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원하는 사람이나 '페이지'를 써클에 추가하면 그들이 공개로 올린 글을 내 '홈'에서 전체 혹은 써클별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트위터의 '리스트'는 팔로우하지 않고도 리스트에 추가를 할 수 있는데 반해 '써클'에 추가를 하면 팔로우를 꼭 하게 됩니다.

그런데 리스트에 추가한 사람들의 글을 보는 용도로만 사용하는 트위터의 '리스트'와는 다르게 구글+에서는 글을 올릴 때에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는 글 뿐 아니고 내가 '써클'에 추가한 모든 사람들, 내가 써클한 사람들과 그 사람들이 써클한 사람들을 합친 '확장써클'과 같은 옵션은 물론이고 내가 선택한 복수의 '써클'에 속한 사람들만이 볼 수 있도록 공개 범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개 범위를 한정해서 올린 글들은 그 사람들의 '홈'에는 뜨지는 않지만 내 프로필 페이지를 방문하거나 특정 글의 링크를 클릭해서는 볼 수 있습니다.

한편 페이스북의 친구 리스트의 경우는 글을 올릴 때에 공유 대상으로 하나의 친구 리스트만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사람들의 홈에 내 글이 뜨게 되는데 이 것은 페이스북이 친구 요청과 수락으로 맺어진 관계인데 비해 구글+는 내가 상대의 동의 없이 만든 써클이기 때문에 생긴 차이일 겁니다.

 

 




커뮤니티

구글+의 커뮤니티는 페이스북의 그룹에 해당됩니다. 공개 커뮤니티에 올린 글은 커뮤니티를 방문한 모든 사람들에게 보이고 비공개 커뮤니티에 올린 글은 커뮤니티 멤버들이 커뮤니티에 들어와서 볼 수 있습니다.

공개 커뮤니티의 경우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은 글의 내용을 보는 것 외에도 그 글에 대해서 '+1'이나 '소식공유'를 할 수 있지만 댓글을 달 수가 없고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그 커뮤니티의 멤버가 되야 합니다.

커뮤니티에 새 글이 올라올 때에 알림으로 알려줄지는 옵션으로 설정을 할 수 있고, 글을 보기 위해서는 커뮤니티를 방문해야 하고 내 홈에 커뮤니티의 글이 뜨지 않습니다. 대신 내가 써클한 사람이 쓴 글은 홈에 뜹니다.

그리고 내가 커뮤니티에 쓴 글이 내 프로필 페이지에 표시할지도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구글+의 페이지는 페이스북의 페이지와 비슷합니다.
개인이 아닌 회사, 브랜드, 제품, 가게, 기관 등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개인 계정(프로필)은 여러 개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페이지도 프로필처럼 다른 프로필이나 페이지를 팔로우할 수 있습니다.


꼭 아셔야 할 사용 팁

- 구글+에서 너무 많은 메일이 와서 귀찮다면 https://www.google.com/settings/plus 여기에 가셔서 알림 설정을 바꾸십시오.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새로운 변화

구글플러스 - 무엇이 경쟁력인가?

 

 

 

소셜미디어 구글플러스  트윗과 페이스북과 무엇이 다른가?

 

 


 

비슷한 기능: 프로필을 설정하고, 친구를 맺으며 좋아요와 같은 +1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모든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있는 뉴스피드와 함께 메시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요..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친구 그루핑 기능(서클기능)으로, 사용자중심의 자신의 공화국을 만들 수 있다 어떤 사람이 글, 이미지 및 다른 컨텐츠를 보게 만들지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페이스북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특징적인 점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는 (행아웃 온에어-일종의 영상채팅 ) 영상으로 커뮤니티 그룹을 만들어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 트위터 처럼 유명인이나 다른 흥미로운 사람들을 팔로우 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 개인화 된 구글 뉴스 페이지로, 관련 컨텐츠를 직접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 배달해주기까지 한다

 

 

기업들은 구글플러스를 통하여 고객,수요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어떻게 인지도를 높이고 매출을 증대 시킬 수 있는가?

구글플러스의 매력은 타겟화 된 공유 옵션 때문입니다. 만일 구글플러스의 공유 기능이 우리가 실제로 공유하고

사회화되는 방법을 나타낸다면,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일방적인 매스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또한, 구글플러스는 사용자들이 실제 친구의 폐쇄된 그룹을 관리함과 동시에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이런 연결의 힘은 더욱 중요해 질 것 입니다.

 

 

이것은 많은 숫자의 친구나 팔로워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말입니다. 최소한 소셜마케팅 담당자들에게 더 중요한

것은 폐쇄된 그룹에 누가 포함되어 있는지, 누가 정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는지, 또 누가 이런 정보들을 공유하길

바라는지가 될 것 입니다. 관계가 더 이상 페이스북의 친구나 트위터의 팔로우 처럼 간단하게 정의되지 않을 때,

기업들은 스스로 받아들여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구글플러스와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바이럴 마케팅 장벽은 높습니다.

때문에 컨텐츠가 더욱 중요하게 됩니다. 더 이상 하나의 글이 모든 팔로워들에게 보여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예를들어 한 특정 회사는 충성스러운 고객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 여러가지 혜택을 주어서

유지하면서 새로운 고객 유치와 회사의 정보, 이슈, 소식에 대하여 알리기 위해 더 넓은 네트워크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젠 기업들은 규모가 아니라 관계의 힘과 친밀함에 대하여 고려해야 할 시점이 되었습니다.

구글플러스의 제한적인 공유 옵션은 사용자들이 크게 반가워할 기능이지만, 잠재적으로 기업들에게는

커다란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소셜마케팅이 처음 시작되었을 때에는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했다면,

이제는 고객들과의 관계를 좀 더 신중하게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SNS [소셜네트웍 서비스 시대]-SNS 정보 정말 믿을만 한가?

기존 미디어와 언론을 정말 대체할 만한 것이 SNS라고 생각하는가?


 


인터넷 실태 조사를 한 결과 SNS(소셜네트웍서비스) 정보 믿을만 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렇지 아니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보는 설문 조사 결과 SNS “정보 믿을만”하다고 응답이 약 43%정도믿을만 하다는 대답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또 한편 가장 빠르고 최신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믿느냐는 말에 24%가 그렇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나왔다

이런 사실은 기존 미디어와 언론에 심각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앞으로 시간이 가면갈 수록
SNS 정보의 파급효과는 그만큼 더 크게 확산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요즘 신문을 보는 사람들의 숫자가 점점더 줄어 드는 것은 어쩌면  위의 통계수치가 그 사실을 그대로 증명해 준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거의 신문을 보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그게 현실로 다가왔다는 것은 그리 놀라운 것은 아니다
국내 인터넷 사용자의 67%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이용하고 있거나 그 이상이 사용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층의 20대는 90%이상의 SNS(소셜네트웍 서비스)를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30대는 약 71%의 이용률을 보였다고 한다 그 뒤를 따라오는 10대들은 더 높은 수치의 통계가 나올 것이라는 것은 불 보듯이 뻔한 사실이다. SNS 이용자들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해 약 43% 가 '믿을 만하다'고 답했다그에 비해 별로 믿을 만 하지 않다고 대답한 사람은 12%에 불과했다고 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인터넷 사용률은 약 78%로 나타났으며 , 사용자당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2.2시간으로 나타 났으며,  약 5% 정도에 미치지도 못했던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PC)의 가구보급률이 올해엔 약50 %로 조사 되었는데  1년 동안에 9배 이상 늘어난것으로 통계상의 수치가나왔다고 한다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로 소셜네트웍 서비스(SNS)를 받고 있거나 소통하고 있는데 그 통계 수치는 이용자의 약 32%로 나타났다

 

소셜네트웍 서비스 (SNS)이용자중 12살 이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7%는 SNS 서비스를통해 지인들과의 관계가 더 돈독해지거나 가까와 지고 있고 ,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모르는 사람들과의 친분을 SNS를 통해서 쌓게 되고 아는 사람으로 자리매김하는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SNS 서비스를 통해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답변이 48%나됐고, SNS 서비스 통해 가장 빠르고 정확한 최신정보를 얻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24%나 됐다 아주 빠른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전파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모습이 드러났다.

자료제공: ESM 인증위원회
작성시간: 2011년 12월 4일




+ Recent posts